전체 글

5. 파이썬 모듈(python module)
모듈 1. 모듈 : 여러가지 함수나 클래스 등을 기능이나 목적별로 모아놓은 파일 모듈화된 기능은 재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중복 코드 문제도 해결 모듈의 이름을 보고 해당 모듈의 기능을 유추할 수 있어야 좋은 모듈 예제 calc.py def add(a,b) : return a+b def sub(a,b) : return a-b def mul(a,b) : return a*b def div(a,b) : return a/b* 다른 경로에 있다면 import 할 때 경로를 지정 해줘야 한다(파일명 뒤 .py 붙이면 안된다) >>> import calc >>> calc.add(4,3) 7 >>> calc.sub(10,5) 5 2. 모듈에서 불러올 함수를 직접 지정하는 방법(모듈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) 사용할 모듈 함수..

4. 파이썬 클래스 (python class)
파이썬 클래스 class Fourcal: def setdata(self, first, second): #메서드의 첫 번째 매개변수 self를 명시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파이썬만의 독특한 특징 self.first = first self.second = second a=Fourcal() a.setdata(4, 2) #a.setdata(4, 2)처럼 호출하면 setdata 메서드의 첫 번째 매개변수 self에는 setdata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a가 자동으로 전달되기 때문 print(a.first) print(a.second)b=Fourcal() b.setdata(10,20) print(b.first) - a 객체의 first 값은 b 객체의 first 값에 영향받지 않고 원래 값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..

3. 파이썬 함수(python function)
파이썬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... 함수는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 함수, 사용자가 만든 사용자 정의 함수, 라이브러리 형태로 모듈화시킨 외장 함수가 있다 def gugu(a,b): #a,b는 매개변수 :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return a+b print(gugu(2,5)) #2,5는 인수 :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 여러개의 입력값을 받는 함수 def 함수이름(*매개변수): ... def many_add(*num): #매개변수 이름 앞에 *을 붙이면 입력값을 전부 모아서 튜플로 만들어 주 sum=0 for i in num : sum=sum+i return sum print(many_add(1,2,3,)) def add_mul(choice, *num) :..

2. 파이썬 제어문(python control)
1. 기본 if문 구조 ->바로 아래 문장부터 if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를 해주어야 한다(다른 언어와의 차이점) # if 조건문: # 수행할 문장1 # 수행할 문장2 # ... # else: # 수행할 문장A # 수행할 문장B # ...a=int(input()) if a==1 : print('일입니다') # print('이건 안될걸') else : print('1이 아니다')elif : 다양한 조건을 판단하는 함수이며, 조건, 개수 제한 없이 사용할수 있다. pass : if문에 아무런 결과 값도 실행하지 않게하는 역할을 한다. a = int(input()) if a ==1: print("일 입니다.") elif a==3: print("삼 입니다.")..

1. 파이썬 데이터 타입(python data type)
** 파이썬의 자료형에는 크게 나누면 '수치형(numbers)', '논리형(bool)', '순서형(sequence)', '매핑형(mapping)',이 있다. 1. 수치형 - 정수(int), 더 큰 정수(long int), 소수(float), 복소수(complex) number_int=123 print(type(number_int),number_int) number_float=1.4 print(type(number_float),number_float) number_complex=3+3j print(type(number_complex),number_complex) a = 2 + 3j b=complex(3, -4) #>>> a (2+3j) #>>> b (3-4j) #>>> a + b (5-1j) #>>> a ..